top of page

차.도.남 이

되고 싶은디

박중도_전신.png
율도관두루마리.png
속세에 물들고 싶은 자연인
율도_율도_박중도 두상.png

박중도朴中道

찬바리 태생 | 남성

인간 | 14세
162cm | 52kg 

우사관무늬
외관
외관

항상 얼굴에 은은한 미소를 띠고 있어 인상이 그리 나빠 보이지는 않지만 풍성한 회색의 머리칼에 나뭇가지, 나뭇잎, 솔방울 등 지저분해 보이는 것들을 군데군데 붙이고 다니는 데다, 머리에 두른 띠도 삐뚤어 조금 모자라 보이기도.

동공이 보이지 않을 정도의 짙은 흑안을 가지고 있으며 왼쪽 눈가엔 길게 흉터가 나 있다.

모서리_우사.png
모서리_우사.png

[솔직함]

좋게 말하면 솔직하고 나쁘게 말하면 직설적인 사람. 자신의 돌려 말하는 재주가 없어 종종 오해를 살 수도 있지만 악의는 담겨있지 않다. 대신 그런 만큼 행실에 거짓됨이 없는 것이 큰 장점.

 

[가벼운]

매사를 가볍게 대하고 어떤 일이던 마음에 두는 것이 없는데, 대범한 행동에 사소한 고민도 하지 않는 것이 간단하게 말하면 쿨하다.

수용 범위도 넓거니와 발화점이 높은 편이라 남들로부터 화를 낼 줄 모르는 바보 같은 사람으로 인식되기도 한다. 간절한 것도, 큰 뜻도 없다. 욕심이 없어 주변의 누군가가 바라는 것이 있다면 기꺼이 자신의 것을 내어주려 한다. 손해를 보더라도 크게 아쉬움을 가지지 않는다.

 

[호기심]

자라온 환경 때문에 또래 아이들을 자주 마주치지 못한 것 때문인지 타인에 대한 호기심이 많다. 타인의 개인적 공간을 지키지 못해 가끔 선을 침범하기도 하는 모양. 주위를 살피지 못하는 편은 아니나 분위기 파악보다는 자신의 호기심 해결에 비중을 두는 타입.

모서리_우사.png
모서리_우사.png
성격
성격

손도끼

손에 쏙 들어오는 크기인 작은 손도끼. 손잡이는 나무로 되어있으며, 날은 위험하지 않도록 가죽으로 감싸두었다.

모서리_우사.png
모서리_우사.png
신기
신기
기타

-뒷짐을 지고 걷는 것이 버릇이다. 속세에서 벗어나 깊은 산골짜기에 기거하는 연로한 도사들에게 받은 영향이라고. 그가 지냈던 이 작은 마을의 구성원은 채 30명도 되지 않으며 상당수가 노인들이라 어릴 때부터 그들로부터 지대한 관심을 받고 자랐다. 자라면서 한 번도 본 적 없던 도시에 가서 사는 것이 소박한 꿈.

-향천학도관 출신의 부모 아래에서 태어난 외동아들. 부모에 대한 이야기는 특별히 알려진 것이 없으며, 본인도 관심이 없는 건지 특별히 자랑하거나 먼저 이야기를 꺼내는 일은 거의 없다.

-좋아하는 것은 수박과 산행. 산행 후 정상에서 수박을 먹는 것을 최고의 낙으로 여겼었다고 한다.

-도끼질을 매우 잘 하지만 좋아하지는 않는다. 향천학도관에서는 나무 패는 것을 시키지 않길 바라고 있다. 

-풍성한 머릿속은 미지의 공간이다. 자신도 모르는 무언가가 계속해서 나온다. 나뭇잎, 나뭇가지 따위 일 때가 대다수이나 벌레의 시체, 뱀 허물, 먹다 남은 음식 등등... 뭐가 나올지 아무도 모르는 열고 싶지 않은 판도라의 상자. 

-하루에 한 번, 오랜 시간을 머리 감는 데에 할애한다. 본인도 머리카락 속에 있는 것을 비우기 위해 애쓰지만, 말끔히 청소하더라도 다음 날이면 다시 알 수 없는 것들이 들어찬다고.

모서리_우사.png
모서리_우사.png
기타
노리개_적관.png
노리개_적관.png
노릐개학교.png
노릐개학교.png
bottom of page