top of page

또 나를

보고

  있었구나?

한도영_전신.png
우사관두루마리이이.png
장래 희망! 얼렁뚱땅 잘 살기!
우사_우사_한도영_두상.png

한도영韓到永

빈바리 태생 | 남성

인간 | 14세

160cm | 55kg 

우사관무늬
외관
외관

대충 넘긴 머리는 주인의 성격을 닮은 듯 자유분방한 모양이다. 말리는 방법에 따라 달라지는 가르마가 이제는 익숙하다. 한 방향으로만 가르마 타면 안 된다며 유쾌하게 외치는 목소리는 아직 변성기가 오지 않아 장난기 많은 아이 같은 목소리. 제법 올라간 눈매에도 불구하고 붙임성 있게 구는 성격과 항상 웃는 표정 탓에 순하게 보이는 것 같기도 하다.

키가 더 클 거라며 제 치수보다 크게 입는 교복 안에는 주로 검은 티를 받쳐 입는다. 겉 바지도 길게 늘여 똑바로 서면 속바지와 비슷한 길이이다. 제 모습도, 성격도, 입고 있는 옷까지 전체적으로 헐렁한 이미지.

모서리_우사.png
모서리_우사.png
우사일등2.png

뻔뻔한|장난기 많은|눈치 빠른|변덕스러운

 

눈이라도 마주치면 또 저를 보고 있었냐며 웃는 얼굴이 짓궂다. 남을 놀려먹는 것이 인생의 유일한 낙이라도 되는 듯 끈질기게 장난을 걸어온다. 눈치는 빨라서 적당한 선을 지키지만 질리지도 않는지 항상 웃음기를 머금은 얼굴이 어쩐지 얄밉다. 그렇게 한참을 놀다가도 흥미가 떨어지면 휙 돌아서 가버린다. 이런 성미는 흥미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대부분의 일을 쉽게 관둔다. 그러면서도 적응은 빠르다. 초등학교를 다닐 때, 반이 바뀔 때마다 밥 먹는 친구를 바꿔가며, 또 하는 운동이 바뀔 때마다 같이 공을 차거나 던지는 친구를 바꿔가며 어디서든 잘 지냈다. 심지어는 처음 말 한 친구네 집에 가서 자고오기도 하는 두껍지만 유연한 신경줄의 소유자. 필요할 때는 눈치 없는 척도 잘 한다. 다져진 눈치와 편하게 살고싶어 하는 성격이 잘 합쳐진 예라고 할 수 있겠다. 

 

모서리_우사.png
모서리_우사.png
성격
성격

손목시계.

무난한 디자인의 금속 손목시계. 옷에 가려져 잘 보이지 않는다.

초등학교 졸업 선물로 큰누나에게 받았다.

모서리_우사.png
모서리_우사.png
신기
신기
기타

1.

제법 나이가 있으신 공무원 부모님과 누나 둘의 가족관계. 작은누나와 띠동갑으로 꽤 나이차이가 많이 난다. 서먹하지는 않지만, 누나와 동생이라기보다는 고모와 조카 같은 관계. 부모님에게는 한없이 애교쟁이지만 누나들에게는 어리광과 눈치 보기 사이를 저울질하는 일이 아주 익숙하다. 이 나이대 애들이 그렇듯이 가족보다 또래들과 있는 것을 즐거워한다. 특별히 친한 친구는 없으나 이리저리 두루두루 친하게 지내는 타입. 교과서가 없을 때는 아무 반이나 들어가도 쉽게 교과서를 빌려올 수 있을 정도. 반에 한 둘은 있는 적당히 시끄럽고 적당히 재미있는 애. 그러니까, 평범한 현대 중학생이다. 

 

2.

학도관 입학 전에는 같은 이름의 고등학교까지 있는 초등학교에 다녔다. 아는 도라고는 제 이름에 들어간 글자밖에 없었다. 당연히 계속 같이 지낼 거로 생각한 친구들과 떨어지는 것이 아쉽고 도사니 도술이니 낯선 것들 투성이지만 도력 폭주라는 현상을 안 뒤로 바로 입학을 결심했다. 기숙학교라는 것을 안 뒤로 크게 기대 중이며 가족들에게 도술 학교인 것은 밝히지 않았다. 이 점을 조금 마음에 걸려하고 있지만, 자신이 도사이며 위험할 수 있다는 것을 어떻게 설명해야 할 지 몰라 그냥 기숙 학교가 가고 싶었다고 얼버무렸다. 가족들은 흉흉한 세상에 막내를 품 안에서 놓아줘도 될 지 걱정했지만 본인의 의지가 워낙 강해 마지못해 입학을 허락했다.

 

3.

12월 31일생. 또래중에도 항상 막내이다. 좋게 말해 사랑받고 자라는게 티나고, 나쁘게 말해 철없는 놈. 그래도 살살 눈치보며 장난을 걸어오는 게 밉지는 않다. 가끔 신나면 선을 넘는 일이 있지만 화 풀라며 싹싹 비는 모습을 보면 화 낼 기운도 나지 않는다.


호불호가 없다시피 하다. 거의 모든 대상에게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나 작은 동물은 무서워한다. 이유는 너무 작아서…. 본인이 특출나게 크거나 힘이 센 것도 아닌데 작은 것들은 귀하게 여기는 습관이 있다. 

집중할 때 그 대상을 뚫어지게 바라보는 습관이 있다. 따분하다면 이리저리 눈이 굴러가기 때문에 어느정도 눈치가 있다면 집중이 흐트러지는 것을 잡아낼 수 있다. 


머리를 쓰는 일보다는 몸 쓰는 일을 월등하게 잘한다. 공부는 지루하고 생각은 귀찮댄다. 

모서리_우사.png
모서리_우사.png
기타
노리개_흑관.png
노리개_흑관.png
노릐개학교.png
노릐개학교.png
bottom of page